본문 바로가기

관심사/마을

펌]홀로 복지순례 #2. (가는 날이 장날이다) : 박원순 변호사 초청강연을 듣다

# 

반송동 느티나무 도서관을 간 날,

(가칭)민주시민교육센터 추진위원회 발족식을 하는 민주공원에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박원순 변호사가 온다고 했다.

 

반송 희망세상 김혜정 사무국장님이 같이 가자시는 덕에

저녁도 얻어먹고 차도 얻어타서 편하게 갔다.

 

 

 

2월 25일. 저녁 8시.

도착한 실내 로비는 1부 순서가 끝나

많은 이들이 나오는 찰나였다.

 

뒤이어 시작한 2부.

초청강연 차례다.

 

 

#1.

 

 

모금 이야기부터 꺼낸 박원순 변호사는

준비한 PPT 슬라이드와 함께

이야기를 술술 풀어나갔다.

 

"모금이라는 게 사실, 예술과 과학이잖습니까.

 좋은 뜻과 함께 예술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이 있어야 잘 되는 거잖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실 뜻이 있으면 하늘에서 돈이 와요.

 

돈이라는 것은 신뢰가 있어야 하는건데,

 신뢰라는 건 믿음이잖아요.

 결국 믿음을 주어야 한다는 건데, 그건 바로 투명성을 이야기하는 거죠.

 

...

 

 

"지금 여기 모이신 분들은 소수자시죠? (자신없는 목소리들 몇 분이 "네")

 명절 때 친척들하고 많이 다투시진 않나요?

 제가 참여연대 있을 적에 간사 한 명도 고향 대구만 갔다 하면,

 힘들어하더라고요.

 

 사실 그래요.

 지금 사회는 어떤 시민단체 회원이 되는 것조차 두려운 사회잖습니까.

 

 수레 뒤에 타고 황무지를 가는 심정처럼

 돌 하나만 채여도 덜컹덜컹거리는 것처럼 그렇죠.

 아직까진 정상적이고 합리적인 이들이 여전히 소수니까요.

 

 그렇다고 소수니까 안 해야 할까요?

 그건 아니라고 봐요.

 

 희망제작소도 Social designer school이란 것을 만들어서 하고 있는데요.

 사회와 세상에 공헌하기 위한 이들을 양성하는 곳이에요.

 공교육이 사실 이 부분을 포기했잖아요.

 

 어릴 적에 보면 우물이나 샘물 파는 곳 있었어요.

 거길 처음 파면 막 물이 흐려져요.

 그런데 조금 지나고 보면,

 아까는 없던 맑은 물이 막 나오고,

 조금만 더 지나면전에 없던 맑은 물이 고여 있잖아요.

 social designer school이 사회의 그런 곳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하는 거죠.

 

 토인비가 그랬죠.

 '창조적 소수'가 되라고.

 모두가 그럴 순 없지만 그런 창조적인 소수를 키워내는 교육이 하고 싶은 거에요.

 

 ...

 

 

 

일본도 일본 정치 자체는 희망이 없어요.

우리나라보다 오히려 더 많은 지식인들이 절망하고 있어요.

 

그렇지만 우리가 일본에서 한 가지 배워야 하는 것은

이런 상황에서 오히려 지역에서부터

시민 힘으로 제대로 된 정치인을 양성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거죠.

 

교육 받는 사람들을 유급으로 지원까지 하면서

'우리 손으로 제대로 된 정치인을 양성하자' 이러고 있거든요.

 

독일도 그래요.

우리나라로 치면 386세대인 독일의 68세대는

지금도 현장에서 무언가를 하고 있어요.

 

이 사람들은 상속받거나 해서 생긴 돈을

'나눔의 재단'을 만들어 사회에 환원하거나 지역의 사회운동에 지원하고 있어요. 

 

...

 

자본주의라고 다 같은 자본주의는 아네요.

잘 알다시피 미국, 프랑스, 독일, 우리나라 모두 다르잖아요.

 

오히려 스웨덴, 노르웨이 같은 북유럽 국가들은 달라요.

교육 같은 경우,

비장애인과 장애인, 학습이 부진한 아이와 우수한 아이 모두 통합해서 교육해요.

 

우리하곤 정반대죠.

오히려 기준이 제일 못 하는 아이를 중심에 놓고 하거든요.

 

우리나라는 그렇게 하면 효율성이 없어 보이고

효과도 뒤떨어질 것이라고 보는데,

 

사실 이 나라들이 보면 경제성장이나 발전지표, 이런 면에서

OECD 이런 데서도 가장 상위권이거든요.

 

오히려 경쟁, 효율 외치는 우리나라가

나중에 뒤쳐진 이들 때문에 사용해야 하는 사회적 비용이 커서 더 비효율적인 셈이죠.

 

...

 

지금 정부도 문제지만

저는 시민들도 달라져야 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해요.

 

우리 시민들도 사실, 일상생활 속에서 제도, 습관, 관행으로

지속적인 민주주의를 만들어 나가야 돼요.

 

일본을 보면

자기 동네에서 소꿉장난 하듯이 하고 있어요.

할아버지, 할머니들도 다 자기 몫이 있어서 같이 하고요.

기초 지자체 의원들이 제대로 안 하면 확실히 그 결과가 다음 번에 나타나요.

 

저는 오히려 우리 동네에서 잘 할만한 사람, 우리가 원하는 것을 하겠다는 사람을

뽑기 시작하면 여의도가 바뀐다고 봐요.

 

그래서 요즘은 현장으로, 지역으로 가란 말을 자주 해요.

 

...

 

 

 

 

숲도 봐야 하지만 나무도 보란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우리나라에 큰 얘길 하는 사람은 참 많아요.

그런데 전 멀리 가지 말고

작은 것 하나를 바뀔 때까지 평생 물고 늘어지라고 해요.

 

무하마드 알리가 한 말이 있죠.

'나비같이 날아가서 벌같이 쏜다'

 

우리는 보면 큰 훅이나 펀치만 날려요.

그러다보니 안 맞으면 우리 체력만 낭비되는 거에요.

 

그러나 가볍지만 꾸준하게 잽을 날리면

어느 순간에는 그게 누적되서 우리 동네가 바뀌는거 거든요.

 

...

 

역사는 늘 중심이 썩게 마련이었어요.

 

신라는 서라벌이 썩었고, 서라벌이 부패하자

지방의 호족들이 일어났고 그 중에 왕건이 집권한게 고려잖아요.

 

고려도 나중에 수도가 부패하자

지방 호족인 이성계가 조선을 세웠고요.

이렇게 역사가 증명하고 있어요.

 

그런데 지금 보면,

지방이라는 게 없어요. 거의 죽어가죠.

그래서 건강한 변경이 더욱 필요해요.

 

천안 KYC 장기수 의원은 늘 이런 말을 해요.

 

"청년이여, 고향으로 내려가 시장이 되자."

 

이 분은 그렇게 지역에서 오랫동안 몸담고 일하면서

10년이 지나 시의원이 되더라고요.

 

아무튼 제가 드리고 싶은 말은

바닥에서 주민운동을 해야 한다는 거고요.

 

부마항쟁이 1단계 민주주의였다면

이제는 정말 생활 속의 민주주의가 되어야 해요.

 

...

 

요즘 거버넌스, 이런 얘길 많이 하는대요.

이를 위해선 시민사회 + 정부 + 시장, 이렇게 되야 돼요.

 

일본의 최고지사, 미야기현의 아사노지사는

마을 도서관의 운영을 동네 주부들에게 맡겼어요.

 

주부들이 운영하다보니

어차피 우리 아이들이 읽을 책이 있는 도서관이니

애정을 갖고 신경을 쓴대요.

 

독일의 베를린도 미래위원회란 곳은

무언가를 회의하고 결정할 때 시장을 빼고 한대요.

 

그래야 시장의 영향력 없이 결정할 수 있다고 하면서요.

 

영국에 보면, '창의적인 감옥'이란 곳이 있어요.

우리나라는 감옥을 '학교'라고 부르잖아요.

 

맨 처음 들어가면, 왜 왔냐부터 물어봐서

다 말하고 나면 "그 땐 이렇게 했어야지"하며 요령을 알려주고,

나갈 때도 의기투합하잔 식으로 나가니

건강하게 사회에 복귀하기 어렵지요.

 

여기는 간수와 수인이

'어떻게 하면 여기에서 지내는 동안, 좋은 방햐으로 변화할 수 있을까?'에 대해

함께 의논하여 만든 곳이래요.

 

사실 감옥이라는 곳이 정상적으로 사회에 복귀하기 위해 만든 곳인데,

실제로 그렇지를 못하잖아요.

 

여기는 감옥을 출퇴근해요.

그래야 더 적응을 잘 하고 변화할 수 있다고 보는거죠.

 

...

 

저는 마을이 우주라고 한 간디의 말을 전적으로 공감해요.

 

간단하게 여쭤볼게요.

 

지금 지내시는 곳에서 앞집, 뒷집 인사는 하세요?

시선 피하시진 않고요?(웃음)

 

지금 우리를 보면 공동체, 정주, 마을이란 게 없어졌어요.

어떤 영국 사람이 우리나라를 보고

100년 전에는 한국이 없었을 것 같다고 하더라고요.

 

그 마을 마을, 켜켜이 쌓인 역사와 전통이 사라지는 게 참 마음이 아파요.

그러다보니 애향심이라는 것도 없고요.

 

산업도로는 우회하거나 지하로 지을 수도 있지만,

그런 것이 들어서면 마을에 오래 된 유래가 있는 것들은

한 번 없어지면 끝이거든요.

그게 정말 중요한건데 말이죠.

 

...

 

지금 우리가 붙잡고 있고 안간힘을 써서 살리려고 하는 굴뚝 산업들,

얼마나 갈 것 같으세요?

 

우리도 결국 이전에 나라들이 하고 있던 기술 뺏아와서

지금 이 자리까지 온 거잖아요.

 

2,30년 지나보세요.

우리 쫓아오는 국가들이 못 뺐을 것 같아요?

아뇨. 우리가 했던 것처럼 그대로 뺏어버리죠.

 

대표적으로 영국이 그랬어요.

그런데 영국이 지금 못 사나요?

 

아니죠.

지역 문화, 예술, 디자인 이런 것 중심으로 바꿔서

지금 오히려 더 선도하고 있잖아요.

 

결국, 일본에 지금 커뮤니티 비지니스가 지역경제의 대안인 것처럼

우리나라도 지역, 농촌과 같은 현장이 희망이라고 봐요.

개미시민운동이 더 절실해지는 거죠.

 

그런 것에 민감해질려면

재래시장으로 사무실을 옮겨야 해요.

 

더 살아있는 지역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니까요.

제가 국회의원들 만났을 때 했던 이야기도 늘 이 이야기했고요.

 


 

1년에 몇 개월씩 국내와 해외의 귀한 사례들을 보러 다닌다는 박원순 변호사,

영감을 얻는 말들, 그리고 정리하면 내 살과 피가 될 말들을 정리해보았다.

 

물론 내가 생각하는 바와 조금 다른 점도 있지만

 

이렇게 정리하며 강연의 핵심을 떠올리게 되고, 가야 할 길에 작은 자신감을 보탠다.

 

'지역으로 가라. 농촌으로 가라.'

'마을이 희망이고 우리의 보루이다.'

 

# 나는 복 받은 사람이다.